야콘 재배 1(펌)
야콘(yacon)은 "꿈의 식물" 또는 "땅속의 식물"이라 불립니다. 당도가 높고 수분이 많아 깍아서 먹으면 배맛처럼 달고 시원하기 때문인것 같습니다.
원산지: 남아메리카 안데스지역 (페루)
이점: 저칼로리, 알칼리성 식이 섬유질이 풍부하고 올리고당을 함유함
재배지: 사질 양토/양토 좋습니다. 수분이 많이 필요하지만 배수가 되지 않는 토양은 가급적 피해야 합니다.
<야콘 재배 특징>
<일반적 특성>
야콘은 지상부의 생육량과 괴근 수확량과의 관계가 깊습니다. 따라서 지상부의 생육을 확보하는 것이 괴근의 수확량을 높이기 위해서 아주 중요합니다. 괴근의 비대는 일정한 생장기간의 확보되어야 하기 때문에 가능한 빨리 심는것이 좋습니다. 중부지방은 5월 8일 이후 늦서리가 지난후 바로 심는 것이 좋습니다
심는 양은 평당 8~10주 심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멀칭피복>
초기 생육 단계에서는 순조로운 생육을 위해 비닐 멀칭으로 지온 상승을 시켜줄 필요가 있습니다.
그러나 장마가 끝난 후의 지온상승은 생육을 저해하며 괴근의 비대를 억제하는 경우가 많아 장마 끝날 무렵에 멀칭을 벗겨주는 것이 필요합니다. (멀칭재배의 목적은 지온 상승, 보수성, 잡초 생육 억제)
초기 생육 단계에서는 더디게 성장합니다. 그러나 6월부터 생육이 왕성해지고 초장도 커져 한여름 이전에는 고랑 가득히 퍼지게 됩니다. 이전에 필히 잡초를 제거하여 채광과 통기성을 좋게 해야 합니다.
비닐 멀칭을 벗겨낸후에는 볏집 멀칭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볏집을 사용하면 지온 상승을 완만하게 하고, 지온의 급격한 변화를 억제하여, 9월 이후 지온의 하강이 적으며 이로 인해 보수성을 좋게합니다.
<병충해>
병충해 피해가 적어 대부분 무농약으로 재배되고 있습니다.
초기 생육 단계는 출아 직후부터 장마가 끝날 무렵까지입니다. 이때 진딋물과 거염벌레등 해충이 발생될수 있습니다. 이는 생육이 늦어지거나 결주가 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셔야 합니다.
<야콘 재배 순서>
1. 야콘 종자 구하기
2. 야콘 모종 키우기 (1)
야콘 종자를 스트로폼 박스에 듬성 듬성 심어 놓습니다.
10cm 정도 자려면 손가락을 흙속에 넣은후 모종을 잡고 꾹 눌러 부러뜨려서 빼냅니다.
관아에서 싹이 나온 것을 직접 따내지 말고 밑줄기를 남긴 후에 자르면 밑줄기 곁눈에서 다시 싹이 나와 많은 야콘 묘를 생산할 수 있습니다.
3. 야콘 모종 키우기 (2)
보통 싹의 길이가 10cm 정도 되면 포트로 가식할 수 있습니다. 가식하신 후 물을 많이 주고 차광막을 덮은 후 비닐을 덮고 보온 덮개로 덮어 줍니다..물은 처음에 많이 주고 2~3일 지나서는 하루에 한번 주되 활착될때 까지는 햇볓을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모종이 너무 자라지 않도록 물주기로 성장을 억제하면 됩니다. 1~4번까지 따낸 묘가 가장 좋습니다.
포트 모종보다는 컵 포트 모종을 권장합니다. 일정 크기가 확보되어야 뿌리 활착을 좋게 하려면 큰 땅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4. 정식하기
4-1. 두둑 만들고 비닐 멀칭하고 구멍 만들기
경작지 면적에 퇴비를 평당 10kg이상 뿌리시고 로터리후 두둑을 만듭니다.
두둑은 높이 40cm이상, 넓이는 50cm이상, 고랑은 20cm 그리고 모종사이는 50cm로 하면 좋습니다.
4-2. 모종 넣고 모종 세우기
4-3. 모종에 물주고 흙 덮어주기
4-4. 마무리 (고랑 신문지 멀칭)
5. 6월/7월/8월 성장 일기
6. 100일째 뿌리 발육 상태 확인 하기
7. 9월 성장 일기
낮과 밤의 온도차가 큰 9~10월에 급속도로 비대해집니다. 이때 충분한 수분이 필요합니다.
9월 초순경(첫 서리 오기 한달 전)에 야콘 긑순의 10cm를 가위로 잘라줍니다. 이는 야콘대로 올라가는 영양을 중지시키고 뿌리로 영양이 내려가도록 하기 위해서입니다.
잘라낸 끝순은 차로 만들면 좋습니다.
8. 수확하기
8-1. 야콘 잎 따기
8-2. 야콘 캐기
첫 수확은 첫서리를 맞은 후 수확하는 것이 좋습니다.
8-3. 후숙하기
수확후 야콘을 세로로 세운다음 10~12도 되는 서늘하고 햇볕이 적당히 드는 곳에 부직포로 덮어 줍니다. 3~4일이 지나면서 붉은 색으로 변화면서 당도가 오르기 시작합니다. 가급적 햇빛을 골고루 볼 수 있도록 하면서 14일 이상 숙성을 시켜야 당도가 높아집니다
간헐적인 햇볕을 보이면서 말리시면 당도가 더욱더 빨리 들고 높아진다고 합니다.
섭씨 4도 이하로 내려갈 경우 냉해를 입을 수 있으니 아파트 베란다 보관시 주의하셔야 합니다.
9. 저장방법
9-1. 야콘 저장 방법
박스안에 비닐을 깔고서 공기가 들어가지 않도록 합니다. 공기가 들어가면 나중에 바람이 들고 수분이 증발합니다
야콘을 박스안에 넣은 다음 비닐로 덮어줍니다.
안쪽에 비닐로 덮은 후에 박스로 닫아서 저장합니다. 저장온도는 12~15도가 적당합니다.
9-2 뇌구 저장 방법
날씨가 따듯한 시간에 수확하여 2~3일 음건하여 저장합니다. 부패방지에 효과적입니다.
뇌두를 정장할때는 반드시 5도를 유지해야합니다. 10도만 되어도 뇌두의 줄기가 썩게 됩니다.
보온덮개를 활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주의사항>
야콘은 화학비료를 싫어합니다. 그러기 때문에 도중에 화학비료를 주는 것은 금물 입니다.
밑거름(밭 만들기 전에 주는 비료)도 주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외줄기 모종이 자라면서 여러 갈래로 왕성하게 자란다. 이때 순을 처 준다던가 하는 것은 농사를 망칠 수 있다. 자라는 그대로 가장 무성하게 자라야 수확이 많다.
서리가 내리는 시기는 가장 많이 성장하는 시기이기 때문에 된서리가 아니라면 무서리를 맞은 후에 수확을 해도 된다.
<>콘이 갈라지는 이유
1. 수분이 많았다가 갑자기 건조하게 되는 경우
비가 온 다음날 갑자기 더워지는 경우
2. 완전히 발효되지 않은 퇴비를 사용할때
미숙퇴비의 유해균이 야콘 뿌리를 공격하기 때문입니다.
3. 수확 직후 과피가 약하기 때문에 약간의 충격을 받을 경우 또는 직사 광선을 받을 경우
수확후 갈라진것은 부패의 원인이되므로 빨리 먹어야 합ㄴ다.
4.늦게 수확할 경우